IP는 뭐고 HTTPS는 뭐죠?(1)

2022. 11. 10. 10:00개발공부/CS지식

IP 주소: 기기 자체의 주소가 아니라 기기와 연결된 네트워크 끝 단의 주소이다. 

IPv4:123.123.123.123 처럼 0.0.0.0 부터 255.255.255.255 까지의 숫자가 네 마디로 구분되는 방식이 현재 주로 사용하는   IPv4 방식이다.

하지만 다양한 모바일 기기가 만들어지면서  IPv4 방식의 주소가 고갈되면서 고안된 방법이 IPv6방식이다.

IPv6: 0~F 로 표현하는 16진수를 4자리 숫자 8개로 표현한다. 거의 무한 개라고 보면 된다.

 

공인 IP 주소 : 지구상 어느 것과도 중복되지 않는 고유 IP 주소이다.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의해 희사나 개인에게 부여된다.  어떤 IP와 중복이 안되기 때문에 웹사이트 같은 서버를 찾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사설 IP 주소 :   IPv4 방식의 공인 IP 주소가 부족해지면서 기기에 서로 다른 주소를 할당 할 수 없기 때문에 생긴 개념이다.

공유기로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여러 기기가 함께 사용하도록 하는 거다. 

 그러나 공인 IP를 공유하는 기기의 주소도 중복되면 안 되기 때문에 공인 IP를 공유한 기기에도 각각 시설을 구분할 수 있는 주소를 할당 하는데 이때 쓰는 주소를 사설 IP 주소라고 한다.

로컬 IP, 가상 IP라고도 불린다.

 

고정 IP 주소 : IP주소가 영구적으로 할당되어 변경되지 않는 주소를 의미한다. 고정 IP를 사용하지 않으면 외부에 알려진 IP가 자칫 다른 사이트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이나 기관에서는 고정 IP를 사용한다. 

 

유동 IP 주소 : 기기에 고정적으로 IP를 부여하지 않고 남아 있는 IP 주소를 골라 그때 그때 기기에 할당하는 방법이다.

웹사이트나 API 같은 기능을 서비스 하는 서버라면 고정 IP를 사용하는게 유리 할 수 있다.

하지만 가격은 유동 IP가 더 저렴하고  정기적으로 IP가 변경되기 때문에 보안측에도 유리하다.

일반적인 클라이언트 사이트 용도로는 유동 IP가 적합하고 기업이나 기관에서 서버를 운영할때는 고정 IP가 유리하다.

 

 

IP와IP 주소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IP 주소는 이 통신을 위해 사용하는 식별 번호이다. 

IP 주소를 줄여서 IP라고 하지만 IP는 규약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에 두 단어는 다른의미이다. 

 

 


도메인과 DNS 

도메인 : IP 주소를 이름처럼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도메인이라 한다. (naver.com,daum.net...)

도메인은 도메인 등록 대행업체를 통해 구입한다. 국내에는 가비아, 후이즈 등 있으면 

해외에는 GoDaddy 등 있다. 

 

도메인은 사람이 보다 쉽게 IP 주소를 사용하도록 돕는 역할을 할 뿐이다. 내부적으로 도메인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변환해서 경로를 안내해주는 역할이 필요한데 그게 DNS이다. 

DNS:IP 주소와 이에 해당하는 도메인의 IP 정보를 갱신하며, 특정 도메인에 대한 요청이 들어오면 IP 주소를 찾아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DNS에서 요청하는 순서 

1 사용자가 주소창에 www.naver.com  을 압력하면 브라우저는 DNS에 IP 주소를 요청한다.

2 DNS는 해당 도메인에 맞는 IP 주소를 찾아 브라우저에 전달한다.

3 브라우저는 해당하는 IP 주소의 웹 서버에 연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