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공부(17)
-
Riverpod(provider)
Provider 가장 기본 베이스가 되는 Provider 아무 타입이나 반환 가능 Service,계산한 값등을 반환할 때 사용 반한값을 캐싱할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빌드 횟수 최소화 가능 여러 Provider의 값들을 묶어서 한번에 반환값을 만들어낼 수 있다 StateProvider UI에서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싶을 때 사용 단순한 형태의 데이터만 관리 (int,double,String등) Map,List등 복잡한 형태의 데이터는 다루지 않음 복잡한 로직이 필요한경우 사용하지 않음 -number++정도의 간단한 로직으로만 한정 StateNotifierProvider StateProvider와 마찬가지로 UI에서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싶을때 사용 복잡한 형..
2023.05.25 -
copyWith()란?
copyWith()는 Immutable 객체를 쉽게 수정하기 위한 메서드이다. Immutable 객체는 생성 후 내부 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객체이다. 상태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는 새로운 객체를 생성해야 한다. 이때 copyWith() 메서드를 사용하면, 기존 객체를 복제하여 일부 속성을 변경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객체는 변경되지 않고, 수정된 새로운 객체가 생성된다. copyWith() 메서드는 해당 객체의 모든 필드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메서드의 호출시 새로운 값을 전달하면, 해당 필드를 변경한 새로운 객체가 반환된다. 만약 전달된 필드 값이 기존 객체와 동일하다면, 기존 객체 자체를 반환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객체 생성을 방지하여 성능을 향상..
2023.03.15 -
provider 와 같은 것이 필요한가?
state management 를 위해서 provider를 쓴다 . state management: 위젯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쉽게 엑세스 하는 기능, 변한 데이터를 맞춰 UI를 다시 그려야한다. 프로바이더는 위젯이 아닌 필요한 데이터를 메서드를 쉽게 엑세스 하는 기능을 제공 데이터가 바뀌면 데이터가 바뀐 정보를 필요한 위젯에 제공해서 필요할때 위젯이 리빌딩하게 해준다.(BLOC) 프로바이더는 위젯이고 플러터에 특화 되어있다. 최상위에 return provider create :(context)=>Dog(name:hoho,age:5) . . ${provider.of(context).age} 넣어야 하는 이유는 프로바이더는 위젯트리를 타고 가면서 인스턴스를 찾기 때문에 찾는 대상을 말해줘야 한다. 만약 두개..
2023.02.07 -
모던 자바스크립트 - 프로그래밍(프로그래밍,언어,구문과 의미),자바스크립트(탄생,표준화)
프로그래밍 컴퓨터에게 실행을 요구하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 0과 1 밖에 모르는 기계가 실행 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상세하게 요구사항을 설명하는 작업이며 그 작업물이 바로 코드이다. 문제 해결 방안을 고려할 때 컴퓨터의 입장에서 문제를 바라봐야 하며 이때 필요한 것이 컴퓨팅 사고이다. 프로그래밍 언어 문제 해결 방안은 컴퓨터에게 전달되어야 하며 이때 명령을 수행할 주체는 컴퓨터이다. 따라서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기계어로 명령을 전달해야 한다. 기계어로 직접 명령을 전달하는 것을 대신에 가장 유용한 대안은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약속된 구문으로 구성된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는 것이다. 프로그래밍 언어란 컴퓨터와 대화에 사용되는 일종의 표현 수단으로 사람과 컴퓨터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약속된..
2022.12.12 -
개발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도구
SDK : software development kit 의 약자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데 사용하는 키트입니다. 각각의 특성에 따라 라이브러리, 런타임 환경, 편집 도구, 코드 샘플, 설명서 등이 포함된다. 파이썬이나 루비 PHP, 자바스크립트 등위 인터프리터 언어는 런타임에서 바로 실행되기 때문에 꼭 SDK가 필요하지는 필요하진 않지만 AWS와 같은 호스팅 서비스나 IDE 등에서 자사 제품과 해당 언어를 연계해서 개발할 수 있더럭 SDK를 제공하기도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뿐만 아니라 윈도우,IOS 등과 같은 운영체제도 해당하는 SDK를 다운로드해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라이브러리: 외부 라이브러리를 import한 뒤 이를 사용해서 명령어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라이브러리를 활용한다. 그래서 라이브러리..
2022.11.17 -
바이트는 뭐고 자료형은 왜 쓰나요?
비트: 2진 숫자의 약자로 컴퓨터가 다루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이다. 0또는 1이라는 2개의 값을 가진다. 비트앞에 숫자가 붙는 것은 데이터를 다룰 때 몇 개의 비트를 사용할 것인가를 뜻한다. 컴퓨터가 이진법을 사용하는 이유: 기계가 전기 신호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사람은 다양한 방법으로 숫자나 수신호를 표현할 수 있지만 전기 신호로는 켜짐과 꺼짐이 가장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리언 자료형 : true , false 라고 하며 이러한 선택지를 가질 수 있는 값을 불리언 자료형이라 부른다. (예:1 아니요:0 만 필요하기 때문에 1비트면 충분하다.) 불 자료형 (1비트) ○ ● 가위바위보(2비트) : ○○ ○● ●○ ●● 바이트 : 비트가 8개 모인것이다. 1바이트는 8비트며 즉 2의 8승으로..
2022.11.14